심판의 전령(傳令) - 1장 – 보이지 않는 재판

1장 – 보이지 않는 재판 주요 등장인물 1. 심판의 전령 – 한 시온(韓 시온) 겉모습: 스물여섯쯤 되어 보이는 마른 체격의 남자. 검은 머리, 평범한 키, 하지만 눈동자는 나이를 잴 수 없이 깊다. 정체: “하늘에서 파견된 심판의 전령”. 남녀노소, 신분고하를 가리지 않고 **‘진짜 악’**을 감지하면 나타나, 흔적 없는 살인 으로 심판한다. 특징: 인간 세상에서는 프리랜서 통·번역가, 가끔은 택배 기사, 배달원, 간병인 등 얼굴 없는 노동자 로 위장해 출몰한다. 죄를 심판할 때, 상대의 기억과 죄를 그대로 눈앞에 펼쳐 보이며, 한 치의 변명도 남기지 않는다. 살인의 흔적은 남지 않고, 검시 결과조차 **“원인 불명의 자연사”**로 기록된다. 2. 여자 기자 – 윤 서연(尹 서연) 나이: 34세. 직업: 종합 일간지 〈도성일보〉 사회부 기자 . 성격: 집요하고, 도덕감각이 과하게 예민할 정도로 곧다. 타협을 잘 하지 못해, 회사 안에서는 “골치 아픈 기자”로 알려져 있다. 과거: 어린 시절, 가난한 집에서 자라며 권력 앞에 무너지는 진실 을 여러 번 목격했다. 대학 시절, 친구 하나가 학교·병원의 잘못된 진단과 부정부패 속에서 죽어나가는 것을 보았지만,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현실에 치를 떨었다. 역할: 설명할 수 없는 완전범죄 연쇄 사망 사건 들을 집요하게 파고들며, 피해자들이 사실은 “가해자”였다는 진상을 하나씩 세상에 드러내는 사람. 그러나 아무리 파고들어도 범인이라는 존재는 그림자조차 잡히지 않는다. 1. 옥상 위의 사자(使者) 초겨울의 공기는, 인간의 숨과 거짓말을 다 같이 얼려 버리려는 듯 싸늘했다. 서울 동쪽, 어중간한 언덕 위에 세워진 거대한 병원 건물, 세광병원 은 마치 도시의 축 늘어진 어깨 위에 꽂힌 흰 못처럼 서 있었다. 유리와 철골로 덧칠된 외벽은 나트륨등 빛을 받아 은은하게 빛났지만, 그 빛은 따뜻하다기보다는 냉장고 안의 형광등...

배송대행지, 개인통관부호, 이름이 꼬였을 때 실제로 벌어지는 일


처음 배송대행지를 쓰는 사람은 보통 이 단계에서 막힌다. “아이디, 영문 이름, 한국 이름, 개인통관부호… 뭘 어디에 써야 하지?” 한 번 잘못 쓰면, 물건이 공항 어딘가에 멈춰 선다.

실제 현장에서 자주 일어나는 문제는 간단하다. 주문서의 수취인 정보와 통관 정보가 서로 다를 때다. 영어 이름과 한글 이름이 섞여 있거나, 예전에 쓰던 통관부호를 그대로 써버리는 식이다. 세관 입장에서는, 이 물건이 누구 것인지, 누가 책임질 것인지가 명확해야만 통관을 내준다.

문제가 발생하면, 우리는 갑자기 시스템 안의 “번호 하나”가 된다. 택배사로부터 오는 문자, 통관 대행 업체의 이메일, 세관의 안내문이 한꺼번에 쏟아지지만, 모두가 “고객님께서 정정 신청을 해주셔야 합니다”라고 말한다.

그래서 가장 현실적인 팁은 하나다. 첫 주문 전에, 내 영문 이름·주소·개인통관부호를 메모장에 정리해 두고, 항상 복붙만 해서 쓰는 것. 사람은 틀리지만, 복붙은 틀리지 않는다. 이 단순한 습관이, 며칠씩 지연되는 통관을 막아준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신용카드 추천 TOP 7 (2025년 목적별 혜택 비교)

내 월급은 왜 그대로일까? | 2025년 임금 상승 전망 분석

인구절벽 시대, 기피시설 유치는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