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sode 3 – A New Awakening 제22장 – 재판 없는 법정 / Chapter 22 – Court Without Trial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아마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접하지 못한 사람이라도 이 문장은 한 번쯤 들어봤을 겁니다. 비극 <햄릿>의 주인공 햄릿 왕자가 읊조리는 이 명대사는, 서양 문학을 넘어 인류 전체의 존재론적 질문을 대변하는 상징적인 문구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보통 이 대사를 "죽을까 살까, 그것이 문제로다"라고 해석하며 단순히 삶과 죽음 사이의 갈등으로 이해하곤 하죠.
하지만 과연 이 짧은 문장 속에 담긴 햄릿의 '진짜' 고뇌는 무엇일까요? 단순한 생사의 문제를 넘어선,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질문은 아닐까요? 오늘 이 글에서는 "To be or not to be"가 가진 다층적인 의미를 깊이 파헤쳐 보고, 햄릿의 복잡한 심리를 함께 들여다보겠습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해석은 햄릿이 자살을 고민하는 상황입니다. 고통스러운 현실에서 벗어나 죽음이라는 안식(혹은 미지의 공포)을 택할 것인가, 아니면 이 모든 비극을 참고 살아남을 것인가 하는 번뇌로 이해됩니다.
그러나 햄릿의 대사를 더 깊이 들여다보면, 단순한 육체적인 삶과 죽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여기서 'To be'는 단순히 '살아있다'를 넘어 '현재의 고통스러운 존재 방식'을 유지할 것인가를 뜻합니다. 반면 **'not to be'는 육체적인 죽음뿐만 아니라 '현재의 자신을 부정하고 전혀 다른 존재가 될 것인가'**를 포함하는 비존재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햄릿은 "고귀한 정신이 과연 잔인한 운명의 돌팔매와 화살을 참고 견디는 것인가, 아니면 밀려오는 재난의 바다에 맞서 싸우다 그것들을 끝장내는 것인가?"라고 묻습니다. 여기서 '참고 견디는 것'은 현재의 수동적인 '존재' 방식이며, '맞서 싸우다 끝장내는 것'은 자신의 존재 방식을 바꾸는, 즉 더 이상 현재와 같은 '존재'가 아니게 되는 극단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
햄릿은 아버지의 복수를 맹세했지만, 실행에 옮기기를 주저하고 끊임없이 번민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To be or not to be"는 '복수를 실행할 것인가, 아니면 이 불의를 참고 살아갈 것인가?' 하는 햄릿의 윤리적, 도덕적 딜레마를 나타냅니다.
햄릿은 행동의 결과와 그것이 가져올 미지의 영역(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쉽게 결정하지 못합니다. 복수를 실행함으로써 더 큰 죄를 짓게 될까, 혹은 실패하여 죽음을 맞이할까 하는 불안감이 그를 짓누릅니다.
햄릿의 독백은 개인적인 복수심을 넘어,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는 필연적인 고난과 부조리에 대한 깊은 사색을 담고 있습니다. "잠이여, 잠이여, 그저 잠이여. 잠이 죽음이라 한다면, 그것으로 우리의 심장을 아프게 하는 근심과 천 가지 자연의 충격을 끝장낼 수 있다면, 이것은 정말 열렬히 바라던 끝이로다."라는 구절에서 햄릿은 삶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강렬한 열망을 드러냅니다.
햄릿은 삶의 고통이 너무나 커서 차라리 죽음이 낫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죽음 너머의 알 수 없는 세상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쉽사리 결정을 내리지 못합니다. 바로 이 **'미지에 대한 두려움'**이 인간을 고통스러운 현실에 묶어두는 가장 큰 이유라고 햄릿은 말합니다.
"To be or not to be"는 햄릿이라는 한 인물의 복잡한 상황과 심리를 넘어, 시대를 초월하여 모든 인간이 살면서 한 번쯤은 마주하게 되는 보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이 대사는 우리 각자의 삶 속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선택의 기로, 그리고 그 선택이 가져올 미지에 대한 인간 본연의 두려움과 용기를 동시에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To be or not to be"는 단순히 '살 것인가 죽을 것인가'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햄릿이라는 한 왕자가 짊어진 복수와 정의에 대한 고뇌이자, 인간으로서 감당해야 할 삶의 고통과 존재의 의미에 대한 심오한 철학적 질문입니다.
결국 햄릿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한 채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합니다. 하지만 그의 끊임없는 사색과 번민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를 던집니다. 당신에게 "To be or not to be"는 어떤 의미인가요? 삶의 어떤 순간, 어떤 질문 앞에서 햄릿의 이 대사를 떠올리게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