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의 전령 - 4장 – 흔들리는 성벽

4장 – 흔들리는 성벽 1. 국회의원실, 아침의 회의 국회의사당 별관, 6층. 두꺼운 방음문 안쪽, 회의실에는 벌써 커피 냄새와 피곤이 섞여 있었다. 벽걸이 TV에서는 아침 뉴스가 쉼 없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화면 하단 자막이 몇 번이고 반복되었다. “연결된 죽음들 – 병원, 학교, 재개발의 공통된 이름들” “지역 유력 인사들, 잇따른 사망… 온라인선 ‘하늘의 심판’ 괴담 확산” 테이블 위에는 출력물이 널려 있었다. 어제 밤 윤 서연이 올린 기사, 각종 커뮤니티 캡처, 댓글들, 그리고 익명 게시판에 떠도는 괴담 모음. 회의실 한가운데 앉은 남자가 그 종이들을 한 장씩 넘기고 있었다. 노 영학. 넥타이는 남색, 정장은 여전히 단정했지만, 눈가에는 피곤과 짜증이 고르게 내려앉아 있었다. “도대체… 이걸 그냥 두고 보자는 거야, 뭐야.” 그가 종이를 책상 위에 던졌다. ‘병원 이사장 – 죽음’ ‘학교 가해자 – 투신’ ‘재개발 대표 – 추락사’ ‘공통 회의 참석자: ○○의원 N 모 씨, ○○교육청 J 모 국장, 재개발 시행사, 의료재단…’ 곁에 앉아 있던 보좌관이 안경을 고쳐 쓰며 조심스럽게 말했다. “…의원님, 아직 실명을 직접 쓰진 않았습니다. 직함과 이니셜만 쓰고, ‘의혹 제기’ 수준으로 톤을 맞춘 기사입니다.” “그래서 고마워해야 된다는 거야, 지금?” 노 영학이 코웃음을 쳤다. “‘의혹’이 제일 더러운 거야. 팩트도 아니고 아닌 것도 아닌 거. 읽는 사람 머릿속에는 **‘맞나 보다’**만 남는다고.” 그는 TV 화면을 향해 손가락질을 했다. “봐라. 저기 저 그래픽. 네 사건을 선으로 이어놓고 가운데에 ‘같은 탁자에 앉았던 사람들’ 운운하는 거. 저거 한 번 박히면… 나중에 무죄 판결을 받아도 사람들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아.” 보좌관 하나가 입술을 깨물었다. “법적으로 대응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명예훼손, 허위사실 유포, 가짜뉴스 규제법 적용 가...

2025년 해외 여행 금지 및 위험한 나라 리스트


2025년 여행을 계획하는 미국 시민 및 전 세계 여행자를 위해, 미국 국무부와 International SOS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고위험 국가를 정리했습니다. 이 리스트는 테러, 내전, 범죄, 납치, 자연재해, 정치적 불안 등으로 인해 여행이 금지되거나 강력히 권고되지 않는 국가들을 포함합니다. 상황은 수시로 변동하므로, 여행 전 반드시 최신 여행 경보(www.travel.state.gov)와 지역 뉴스를 확인하세요.

미국 국무부 "Level 4: Do Not Travel" 국가

미국 국무부는 아래 국가들에 대해 최고 수준의 여행 경보(Level 4)를 발령, 여행 금지를 권고합니다. 주요 위험 요소는 각국별로 괄호 안에 표기했습니다.

  1. Afghanistan (테러, 내전, 납치, 미국 대사관 부재)
    • 2021년부터 카불 주재 미국 대사관 운영 중단, 긴급 지원 제한.
  2. Belarus (임의 구금, 러시아 군사 활동, 여행자 괴롭힘)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연계 위험.
  3. Burkina Faso (테러, 범죄, 납치)
    • 2025년 새롭게 추가, 북부 지역 특히 위험.
  4. Haiti (갱 폭력, 납치, 내전, 비상사태)
    • 포르토프랭스에서 항공편 금지 연장, 통행금지 시행.
  5. Iran (임의 구금, 테러, 적대적 외교 관계)
    • 미국 시민 대상 구금 위험.
  6. Iraq (테러, 납치, 내전, 시리아 접경 위험)
    • 2023년부터 미군 기지 공격 증가.
  7. Lebanon (로켓/미사일 공격, 테러, 불안정한 안보)
    • 이스라엘-헤즈볼라 충돌로 2023년 Level 4로 상향.
  8. Libya (내전, 테러, 납치, 호텔/공항 표적)
    • 10년 이상 지속된 내전으로 불안정.
  9. Myanmar (Burma) (내전, 정치적 불안, 테러, 지뢰)
    • 군사 정권과 반군 충돌 지속.
  10. North Korea (임의 구금, 긴급 지원 불가, 억류 위험)
    • 2025년 서구 관광객 재개장에도 불구, 미국 시민 억류 위험.
  11. Russia (우크라이나 전쟁, 괴롭힘, 임의 구금)
    • 미국 시민 대상 괴롭힘 및 구금 보고.
  12. Somalia (테러, 납치, 해적, 극단적 보안 위험)
    • International SOS도 극단적 위험으로 분류.
  13. South Sudan (내전, 범죄, 납치, 불안정)
    • 지속적인 폭력과 불안정한 정치 상황.
  14. Sudan (내전, 테러, 인구 밀집 지역 충돌)
    • 2025년 위험 등급 상향, 갈등 확산.
  15. Syria (내전, 테러, 납치, 지뢰)
    • 2015년부터 대사관 운영 중단, 지원 불가.
  16. Venezuela (임의 구금, 범죄, 정치적 불안, 대사관 부재)
    • 2019년부터 카라카스 대사관 운영 중단, 억류 위험.
  17. Yemen (내전, 테러, 납치, 지뢰, 콜레라)
    • 후티 반군과 연합군 공습, 평화 협상 불안정.

참고: 총 21개국이 2025년 3월 기준 Level 4로 지정됨. 북한과 부르키나 파소는 최근 추가.

"Level 3: Reconsider Travel" 국가 (여행 재고 권고)

아래 국가는 심각한 안전 위험으로 여행을 재고해야 하는 곳입니다. 일부 지역은 Level 4로 지정될 수 있음에 유의하세요.

  • Mali (테러, 납치, 내전)
  • Ethiopia (내전, 테러, 지역 갈등)
  • Nigeria (범죄, 테러, 납치)
  •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범죄, 내전, 테러)
  • Pakistan (테러, 정치적 불안, 일부 지역 위험)
  • Papua New Guinea (범죄, 폭력, 자연재해)
  • Honduras (범죄, 갱 폭력)
  • Mexico (특정 주: 범죄, 납치)
    • Level 4 지역: Colima, Guerrero, Michoacan, Sinaloa, Tamaulipas, Zacatecas
    • Level 3 지역: Jalisco (푸에르토 발라타), Guanajuato (산 미겔 데 아옌데)

International SOS 2025 고위험 국가

International SOS의 2025년 위험 지도에 따르면, 아래 국가는 "극단적(Extreme)" 또는 "높음(High)" 보안 위험으로 분류됩니다.

  • 극단적 보안 위험:
    • Somalia, Sudan, South Sudan, Central African Republic, Yemen, Libya, Iraq, Afghanistan, Syria, Ukraine
  • 높은 보안 위험:
    • Mali, Ethiopia, Nigeria,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Pakistan, Myanmar, Papua New Guinea, Venezuela, Haiti, Honduras

트럼프 행정부의 잠재적 여행 제한 국가

2025년 3월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최대 43개국의 시민에 대한 여행 제한을 검토 중입니다. 이는 보안 및 심사 절차 부족을 이유로 한 조치입니다. 아래는 초안 리스트의 주요 내용입니다. 최종 리스트는 변동 가능합니다.

  • 완전 비자 발급 중단 (Red List, 11개국):
    • Afghanistan, Bhutan, Cuba, Iran, Libya, North Korea, Somalia, Sudan, Syria, Venezuela, Yemen
  • 부분 비자 제한 (Orange List, 10개국):
    • Belarus, Eritrea, Haiti, Laos, Myanmar, Pakistan, Russia, Sierra Leone, South Sudan, Turkmenistan
    • 관광, 학생, 이민 비자 제한, 부유한 비즈니스 여행자는 예외 가능.
  • 유예 기간 (Yellow List, 22개국):
    • Angola, Antigua and Barbuda, Benin, Burkina Faso, Cambodia, Cameroon, Cape Verde, Chad, Republic of Congo,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Dominica, Equatorial Guinea, Gambia, Liberia, Malawi, Mali, Mauritania, St. Kitts and Nevis, St. Lucia, São Tomé and Príncipe, Vanuatu, Zimbabwe
    • 60일 내 보안 및 심사 개선 필요, 미이행 시 제한.

추가 주의사항

  • 여행 전 준비:
    • 최신 정보 확인: 미국 국무부(www.travel.state.gov)와 Smart Traveler Enrollment Program(STEP)에 등록해 경보 수신.
    • 보험: 고위험 지역은 여행자 보험 및 근로자 보상 보장이 제한될 수 있음.
    • 문서: 여권, 비자 사본 휴대, 원본은 안전한 곳에 보관.
    • 계획: 긴급 상황 시 미국 정부 지원 없이 탈출 계획 수립.
  • 위험 요소:
    • 테러, 납치, 내전, 정치적 불안, 자연재해(지진, 태풍 등), 건강 위험(말라리아, 뎅기열, 오로푸치 등).
    • CDC 여행 건강 경보: 에티오피아(말라리아), 남미(황열병), 인도양 지역(치쿤구니아) 등.
  • 권고:
    • 고위험 국가 방문은 피하고, 불가피 시 현지 뉴스 모니터링, 대사관 연락처 확보, 유언장 작성 권장.

결론

2025년 기준, 위 국가들은 심각한 안전 위협으로 여행이 금지되거나 재고되어야 합니다. 안전한 여행지를 찾는다면 캐나다, 미국, 영국, 스페인, 프랑스, 모로코, 베트남 등이 낮은 보안 위험으로 분류됩니다. 여행 계획 시 항상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세요.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신용카드 추천 TOP 7 (2025년 목적별 혜택 비교)

내 월급은 왜 그대로일까? | 2025년 임금 상승 전망 분석

인구절벽 시대, 기피시설 유치는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