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의 전령 - 4장 – 흔들리는 성벽

4장 – 흔들리는 성벽 1. 국회의원실, 아침의 회의 국회의사당 별관, 6층. 두꺼운 방음문 안쪽, 회의실에는 벌써 커피 냄새와 피곤이 섞여 있었다. 벽걸이 TV에서는 아침 뉴스가 쉼 없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화면 하단 자막이 몇 번이고 반복되었다. “연결된 죽음들 – 병원, 학교, 재개발의 공통된 이름들” “지역 유력 인사들, 잇따른 사망… 온라인선 ‘하늘의 심판’ 괴담 확산” 테이블 위에는 출력물이 널려 있었다. 어제 밤 윤 서연이 올린 기사, 각종 커뮤니티 캡처, 댓글들, 그리고 익명 게시판에 떠도는 괴담 모음. 회의실 한가운데 앉은 남자가 그 종이들을 한 장씩 넘기고 있었다. 노 영학. 넥타이는 남색, 정장은 여전히 단정했지만, 눈가에는 피곤과 짜증이 고르게 내려앉아 있었다. “도대체… 이걸 그냥 두고 보자는 거야, 뭐야.” 그가 종이를 책상 위에 던졌다. ‘병원 이사장 – 죽음’ ‘학교 가해자 – 투신’ ‘재개발 대표 – 추락사’ ‘공통 회의 참석자: ○○의원 N 모 씨, ○○교육청 J 모 국장, 재개발 시행사, 의료재단…’ 곁에 앉아 있던 보좌관이 안경을 고쳐 쓰며 조심스럽게 말했다. “…의원님, 아직 실명을 직접 쓰진 않았습니다. 직함과 이니셜만 쓰고, ‘의혹 제기’ 수준으로 톤을 맞춘 기사입니다.” “그래서 고마워해야 된다는 거야, 지금?” 노 영학이 코웃음을 쳤다. “‘의혹’이 제일 더러운 거야. 팩트도 아니고 아닌 것도 아닌 거. 읽는 사람 머릿속에는 **‘맞나 보다’**만 남는다고.” 그는 TV 화면을 향해 손가락질을 했다. “봐라. 저기 저 그래픽. 네 사건을 선으로 이어놓고 가운데에 ‘같은 탁자에 앉았던 사람들’ 운운하는 거. 저거 한 번 박히면… 나중에 무죄 판결을 받아도 사람들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아.” 보좌관 하나가 입술을 깨물었다. “법적으로 대응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명예훼손, 허위사실 유포, 가짜뉴스 규제법 적용 가...

2025 U.S. Entry Ban for 12 Countries Including Iran// 2025년 6월 이란 등 12개국 국민 미국 입국 전면 금지

On June 4, 2025, U.S. President Donald Trump signed a proclamation banning nationals from 12 countries from entering the United States, citing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safety concerns. This measure expands and revives the controversial "Muslim Ban" from his first term in 2017, sparking debate. Below is a detailed guide covering the measure, targeted countries, background, and impacts.

1. Overview of the Measure

  • Announcement Date: June 4, 2025 (local time)

  • Effective Date: June 9, 2025, at 12:01 AM (local time)

  • Details:

    • Complete entry ban for nationals of 12 countries.

    • Partial entry restrictions for nationals of 7 countries.

  • Purpose: President Trump stated in the proclamation that the measure aims to "protect the national security and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and "prevent radical Islamic terrorists from entering our country."

  • Exceptions:

    • U.S. permanent residents

    • Diplomats

    • Olympic athletes

    • Special immigrant visa holders from Afghanistan

2. Countries Under Full Entry Ban (12 Countries)

The following nations were deemed to have inadequate vetting and pose a high risk to the U.S., resulting in a complete entry ban:

  1. Afghanistan - Terrorism and unstable security situation

  2. Myanmar - Political instability and human rights issues

  3. Chad - Terrorism threats and poor security measures

  4. Republic of the Congo - Unstable political climate

  5. Equatorial Guinea - Inadequate vetting procedures

  6. Eritrea - Human rights concerns and lack of cooperation

  7. Haiti - Gang violence and political turmoil

  8. Iran - Alleged support for terrorism, hostile U.S. relations

  9. Libya - Civil war and terrorism threats

  10. Somalia - Terrorist group activity, weak government control

  11. Sudan - Civil war and security threats

  12. Yemen - Civil war, terrorist group (Houthi) activity

3. Countries Under Partial Entry Restrictions (7 Countries)

The following nations face partial entry restrictions under specific conditions (e.g., limits on tourist or student visas), with possible exceptions for wealthy business travelers:

  1. Burundi

  2. Cuba

  3. Laos

  4. Sierra Leone

  5. Togo

  6. Turkmenistan

  7. Venezuela

4. Background and Context

  • Trump's First Term Policy:

    • In 2017, Trump issued an executive order banning entry from several Muslim-majority countries (Iran, Libya, Somalia, Sudan, Syria, Yemen, etc.).

    • Dubbed the "Muslim Ban," it faced criticism but was upheld in a revised form by the U.S. Supreme Court in 2018.

    • North Korea and certain Venezuelan officials were also included.

  • 2025 Measure:

    • In March 2025, The New York Times reported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 was considering entry restrictions for up to 43 countries, with 11, including North Korea and Iran, facing full bans.

    • The final announcement excluded North Korea and Russia.

    • The measure cites incidents like the Colorado Jewish terror attack, emphasizing national security and terrorism prevention.

  • White House Stance:

    • Spokesperson Abigail Jackson stated on X: "President Trump is fulfilling his promise to protect Americans from dangerous foreign actors."

    • The 12 countries were flagged for "inadequate vetting results and high risk."

5. Reactions and Controversy

  • Supporters:

    • Backers argue it strengthens national security and prevents terrorism.

    • Trump supporters see it as effective in blocking illegal immigration and risks.

  • Critics:

    • Human rights groups and Democrats call it "discriminatory," noting the inclusion of many Muslim-majority nations and reviving "Muslim Ban" concerns.

    • Fears of airport chaos and humanitarian issues (family separations, refugee restrictions) as seen in 2017.

    • Legal challenges expected, with focus on potential Supreme Court rulings.

  • Past Precedent:

    • The 2017 ban caused immediate airport disruptions and protests.

    • The 2025 measure, effective June 9, aims to reduce chaos with a delayed start.

6. Considerations and Impacts

  • Travelers:

    • Entry ban takes effect at 12:01 AM on June 9, 2025; check visa applications and travel plans.

    • Nationals of affected countries already in the U.S. should verify exception status (e.g., permanent residency, visa type).

  • International Relations:

    • Potential diplomatic friction with targeted nations, especially heightened tensions with Iran.

    • Economic impacts: possible effects on trade, education, and tourism.

  • Verification:

    • Check updates at the White House (www.whitehouse.gov) or U.S. State Department (www.travel.state.gov).

    • Enroll in the Smart Traveler Enrollment Program (STEP) for alerts.

7. Conclusion

President Trump’s June 2025 proclamation fully bans entry for nationals of 12 countries, including Iran, and partially restricts 7 others, citing national security. While aimed at countering terrorism and security threats, it raises concerns of discrimination and humanitarian issues. Travelers should review plans before June 9 and stay informed with the latest updates.


2025년 6월 이란 등 12개국 국민 미국 입국 전면 금지

2025년 6월 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국가 안보와 공공 안전을 이유로 12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전면 금지하는 포고령에 서명했습니다. 이 조치는 2017년 집권 1기 때의 이른바 "무슬림 입국 금지령"을 확대·부활시킨 것으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아래는 조치의 세부 내용, 대상 국가, 배경, 그리고 영향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1. 조치 개요

  • 발표일: 2025년 6월 4일 (현지 시간)

  • 시행일: 2025년 6월 9일 0시 1분 (현지 시간)부터 발효

  • 내용:

    • 12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 전면 금지.

    • 7개국 국민의 입국 부분 제한.

  • 목적: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미국 국민의 국가 안보와 국익을 보호"하며 "급진적인 이슬람 테러리스트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오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포고문에서 밝힘.

  • 예외:

    • 미국 영주권자

    • 외교관

    • 올림픽 선수

    • 아프가니스탄 특별이민비자 소지자

2. 입국 전면 금지 대상국 (12개국)

아래 국가들은 검토 및 심사 결과가 미흡하고, 미국에 높은 위험을 초래한다고 판단되어 입국이 전면 금지됩니다:

  1. 아프가니스탄 - 테러와 불안정한 안보 상황

  2. 미얀마 - 정치적 불안과 인권 문제

  3. 차드 - 테러 위협과 보안 미흡

  4. 콩고공화국 - 불안정한 정치 상황

  5. 적도기니 - 심사 절차 부족

  6. 에리트레아 - 인권 문제와 협력 부족

  7. 아이티 - 갱 폭력과 정치적 혼란

  8. 이란 - 테러 지원 의혹, 미국과 적대적 관계

  9. 리비아 - 내전과 테러 위협

  10. 소말리아 - 테러 단체 활동, 정부 통제력 약화

  11. 수단 - 내전과 안보 위협

  12. 예멘 - 내전, 테러 단체(후티) 활동

3. 입국 부분 제한 대상국 (7개국)

아래 국가들은 특정 조건(예: 관광, 학생 비자 제한) 하에서 입국이 부분적으로 제한됩니다. 부유한 비즈니스 여행자 등은 예외 가능성 있음:

  1. 브룬디

  2. 쿠바

  3. 라오스

  4. 시에라리온

  5. 토고

  6. 투르크메니스탄

  7. 베네수엘라

4. 배경과 맥락

  • 트럼프의 1기 정책:

    • 2017년, 트럼프는 이슬람 다수 국가(이란, 리비아, 소말리아, 수단, 시리아, 예멘 등) 국민의 입국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령.

    • "무슬림 금지령"으로 비판받았으나, 2018년 미국 연방대법원이 수정된 조치를 합헌으로 판결.

    • 당시 북한과 베네수엘라 일부 당국자도 포함.

  • 2025년 조치:

    • 2025년 3월,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43개국에 대한 입국 제한을 검토 중이며, 북한과 이란 등 11개국을 전면 금지 대상으로 고려한다고 보도.

    • 최종 발표에서 북한과 러시아는 제외됨.

    • 조치 배경으로 콜로라도 유대인 테러 사건 등이 거론, 국가 안보와 테러 방지 강조.

  • 백악관 입장:

    • 애비게일 잭슨 대변인은 X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위험한 외국 행위자들로부터 미국인을 보호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한다고 발언.

    • 12개국은 “심사 결과 미흡, 높은 위험”으로 판단.

5. 반응과 논란

  • 찬성 측:

    • 국가 안보와 테러 위협 방지를 지지.

    • 트럼프 지지자들은 불법 이민과 위험 요소 차단에 효과적이라 주장.

  • 반대 측:

    • 인권 단체와 민주당은 “차별적”이라 비판, 이슬람 국가 다수 포함으로 “무슬림 금지령” 재현 우려.

    • 2017년 조치 때처럼 공항 혼란, 인도적 문제(가족 분리, 난민 억제) 우려.

    • 법적 소송 가능성 제기, 연방대법원 판결 주목.

  • 과거 사례:

    • 2017년 조치는 예고 없이 시행되어 공항에서 혼란, 시위 발생.

    • 2025년 조치는 6월 9일 시행으로 시간차를 두어 혼란 완화 시도.

6. 주의사항과 영향

  • 여행자:

    • 6월 9일 0시 1분부터 입국 금지 발효, 사전 비자 신청과 여행 계획 확인 필수.

    • 이미 미국 내 체류 중인 대상국 국민은 예외 여부(영주권, 비자 상태) 확인.

  • 국제 관계:

    • 대상국과의 외교 마찰 가능성, 특히 이란과의 긴장 심화 우려.

    • 경제적 영향: 무역, 유학, 관광 산업 타격 가능.

  • 확인 방법:

    • 최신 정보는 미국 백악관(www.whitehouse.gov) 또는 국무부(www.travel.state.gov)에서 확인.

    • Smart Traveler Enrollment Program(STEP)에 등록해 경보 수신 권장.

7.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2025년 6월 포고령은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이란 등 12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전면 금지하고, 7개국을 부분 제한합니다. 이는 1기 행정명령의 확대판으로, 테러와 보안 위협 방지를 목표로 하지만, 차별 논란과 법적, 인도적 문제를 동반합니다. 여행자는 시행일인 6월 9일 전 계획을 재검토하고,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신용카드 추천 TOP 7 (2025년 목적별 혜택 비교)

내 월급은 왜 그대로일까? | 2025년 임금 상승 전망 분석

인구절벽 시대, 기피시설 유치는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