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의 전령 - 4장 – 흔들리는 성벽

4장 – 흔들리는 성벽 1. 국회의원실, 아침의 회의 국회의사당 별관, 6층. 두꺼운 방음문 안쪽, 회의실에는 벌써 커피 냄새와 피곤이 섞여 있었다. 벽걸이 TV에서는 아침 뉴스가 쉼 없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화면 하단 자막이 몇 번이고 반복되었다. “연결된 죽음들 – 병원, 학교, 재개발의 공통된 이름들” “지역 유력 인사들, 잇따른 사망… 온라인선 ‘하늘의 심판’ 괴담 확산” 테이블 위에는 출력물이 널려 있었다. 어제 밤 윤 서연이 올린 기사, 각종 커뮤니티 캡처, 댓글들, 그리고 익명 게시판에 떠도는 괴담 모음. 회의실 한가운데 앉은 남자가 그 종이들을 한 장씩 넘기고 있었다. 노 영학. 넥타이는 남색, 정장은 여전히 단정했지만, 눈가에는 피곤과 짜증이 고르게 내려앉아 있었다. “도대체… 이걸 그냥 두고 보자는 거야, 뭐야.” 그가 종이를 책상 위에 던졌다. ‘병원 이사장 – 죽음’ ‘학교 가해자 – 투신’ ‘재개발 대표 – 추락사’ ‘공통 회의 참석자: ○○의원 N 모 씨, ○○교육청 J 모 국장, 재개발 시행사, 의료재단…’ 곁에 앉아 있던 보좌관이 안경을 고쳐 쓰며 조심스럽게 말했다. “…의원님, 아직 실명을 직접 쓰진 않았습니다. 직함과 이니셜만 쓰고, ‘의혹 제기’ 수준으로 톤을 맞춘 기사입니다.” “그래서 고마워해야 된다는 거야, 지금?” 노 영학이 코웃음을 쳤다. “‘의혹’이 제일 더러운 거야. 팩트도 아니고 아닌 것도 아닌 거. 읽는 사람 머릿속에는 **‘맞나 보다’**만 남는다고.” 그는 TV 화면을 향해 손가락질을 했다. “봐라. 저기 저 그래픽. 네 사건을 선으로 이어놓고 가운데에 ‘같은 탁자에 앉았던 사람들’ 운운하는 거. 저거 한 번 박히면… 나중에 무죄 판결을 받아도 사람들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아.” 보좌관 하나가 입술을 깨물었다. “법적으로 대응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명예훼손, 허위사실 유포, 가짜뉴스 규제법 적용 가...

제13장 – 파편 Chapter 13 – The Shards


제13장 – 파편
Chapter 13 – The Shards

루크는 다시 어둠 속을 걷고 있었다.
그는 느낄 수 있었다. 무언가가 깨졌다는 것을.
단지 브렌트 고먼의 생명이 아니라, 이 세계의 균형 속 어떤 얇은 막이.

Luke walked once more through the darkness.
He could feel it—something had shattered.
Not just Brent Gorman’s life, but a thin membrane in the balance of this world.

거리의 소음은 여전했지만, 귀를 기울이면 들릴 수 있었다.
미세한 균열 소리, 깨진 유리처럼 갈라진 현실의 숨결.
누군가가 그 ‘파편’을 인지하고 있었다.

The city’s sounds remained, but if he listened closely,
he could hear it—faint cracks, like broken glass. The breath of a fractured reality.
And someone else had noticed these shards.

그날 이후, 루크는 세 번이나 누군가에게 미행당했다.
눈을 돌리면 사라졌고, 그림자를 밟으려 하면 기척만 남았다.
그들은 단순한 시민이 아니었다.
심판이 존재함을 아는 자들이었다.

Since that night, Luke had been followed three times.
Whenever he turned, they vanished. When he reached for them, only the trace remained.
They were no ordinary citizens.
They knew judgment existed.

그가 심판을 집행한 그 장소에는 흔적이 남았다.
피의 잔해도, 시체도 없었다. 하지만 기운은 남았다.
한밤중의 공간이 어색할 만큼 공허해진다거나,
동물들이 멈춰 서 울기 시작한다거나—
그런 ‘현상’이 퍼지고 있었다.

There were no corpses, no visible blood at the site of judgment. But something lingered.
A strange void filled the space,
as if midnight itself hesitated there.
Animals would stop and howl.
These phenomena had begun to spread.

그리고 그것은 누군가의 관심을 끌기엔 충분했다.

And that was more than enough to draw someone’s attention.

그날 밤, 루크는 자신의 집 근처 골목에서 낯선 그림자를 마주쳤다.
그 그림자는 말을 걸지도, 달아나지도 않았다.
단지 바라보고 있었다.
그의 눈과 마주친 순간, 루크는 깨달았다.

That night, Luke encountered a shadow near the alley by his apartment.
It didn’t speak, didn’t flee.
It simply watched.
The moment their eyes met, Luke understood.

“당신은… 나를 감시하고 있군.”

“You’ve been watching me.”

그림자는 고개를 살짝 끄덕였다.
그러나 말을 하진 않았다.
그는 인간처럼 보였지만, 온몸에서 ‘무감정’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The shadow nodded slightly.
Still, it said nothing.
It looked human, but radiated pure detachment.

루크는 한 발 앞으로 내디뎠다.
그 순간, 그림자는 사라졌다.
공기조차 흔들리지 않았다.

Luke stepped forward.
And in that instant, the shadow vanished.
Not even the air rippled.

“흠… 이제부터는, 나만의 전쟁이 아니겠군.”

“Hm… It’s no longer just my war, is it?”

그는 고개를 들었다.
도시의 불빛 아래, 또 다른 전선이 열리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알고 있었다—
심판자는 혼자일 수 없다.
악이 무리를 짓는다면, 정의도 움직여야 한다.

He raised his head.
Beneath the city’s lights, another front was opening.
And he knew—
A Harbinger cannot walk alone.
If evil travels in packs, so too must justice rise.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신용카드 추천 TOP 7 (2025년 목적별 혜택 비교)

내 월급은 왜 그대로일까? | 2025년 임금 상승 전망 분석

인구절벽 시대, 기피시설 유치는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